
소아의 발달 영역은 대근육 · 소근육 운동 발달, 언어 · 인지 발달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
각 발달 영역들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모든 발달 영역들이 
고루 진행되는 것이 정상적입니다.
출생시 평균키는 50cm 이고 생후 6개월간은 약 17cm 자라고 다음 6개월은 약 8cm 자라서 생후 1년이 되면 키가 약 75cm 가량 됩니다. 
제 2년째는 10cm, 제 3년째는 8cm, 제 4년째는 7cm 가량 자랍니다.
출생시 평균 체중은 3.3kg이며 정상범위는 2.6~4.4kg입니다. 
생후 3~4일 동안은 태변 및 소변 배설, 폐 및 피부로부터의 수분손실, 수유량 부족 등으로 5~10%의 체중감소가 생기지만 
대개 7~10일째가 되면 회복합니다. 
생후 5~6개월동안은 하루에 20~30g 정도 체중이 증가합니다. 
후반 6개월 동안은 이보다 적은 1일 15~20g정도 체중이 증가합니다.
| 연령 | 체중(kg) | 출생시 체중에 대한 배수 | 
|---|---|---|
| 출생시 | 3.3 | 1 | 
| 3개월 | 6.6 | 2 | 
| 1년 | 10 | 3 | 
| 2년 | 13 | 4 | 
| 4년 | 16 | 5 | 
| 6년 | 20 | 6 | 
| 10년 | 30 | 10 | 
소천문은 생후 6~8주 경에 닫히고 그 후 대천문은 14~18개월 경에 닫히나 때에 따라 2년이 지나서 닫히는 경우도 있습니다.
6~8개월경 처음 이가 나기 시작하여 20~30개월까지 총 20개의 유치가 납니다. 
13개월이 지나도 이가 나지 않으면 검사를 받아보아야 합니다. 
이가 날 때 그 부위를 덮고 있는 잇몸이 압박을 받기 때문에 보채고 침흘리고 몹시 빨거나 씹으려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.
배뇨 횟수는 어린 영아에서는 1일 10~30회쯤 되다가 2~3년에는 약 10회, 3~4년에는 약 9회로 차츰 감소하여 
12세 이상이 되면 성인과 같이 4~6회로 됩니다.

시각

후각

청각

대근육 운동 발달 순서
| 종목 | 개월수 | 
|---|---|
| 엎드린 자세에게 가슴을 듣다 | 2개월 | 
| 목을 가눈다 | 3~4개월 | 
| 뒤집는다 | 4~5개월 | 
| 잡아주면 앉아 있는다 | 5개월 | 
| 혼자 앉아 있는다 | 7개월 | 
| 배밀이 | 7개월 | 
| 네발로 긴다 | 8개월 | 
| 혼자 일어나 앉는다 | 8개월 | 
| 붙잡고 선다 | 9~10개월 | 
| 붙잡고 걷는다 | 10개월 | 
| 혼자 서 있는다 | 11개월 | 
| 혼자 걷는다 | 12개월 | 
| 손잡고 계단을 올라간다 | 18개월 | 
| 잘 뛴다 | 2년 | 
| 혼자 계단을 올라간다 | 2년 | 
| 세발자전거를 탄다 | 3년 | 
| 한쪽 발로 잠깐 서 있는다 | 3년 | 
| 혼자 계단을 내려온다 | 3년 | 
| 한쪽 발로 뛴다 | 4년 | 
| 줄넘기를 한다 | 5년 | 

언어발달
① 12개월에 말을 한마디도 하지 않거나
② 18개월에도 말보다 몸짓으로 의사표현을 하거나
③ 만 2세에도 간단한 두 단어 문장을 만들지 못하거나
④ 만 3세가 되어도 문장으로 자신의 의사표현을 하지 못 할 때 언어발달 지연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.

수면

대소변 가리기
곽생로 송도점의 6가지 특별함